A Study of Nietzsche’s Concept of Time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5:83-102 (2023)
  Copy   BIBTEX

Abstract

시간에 대한 우리의 탐구는 소크라테스 이전의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로부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아우구스티누스와 칸트, 하이데거, 베르그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시간 개념을 서양철학사를 관통하고 있는 핵심 주제라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많은 사상가들은 시간 개념에 대한 독창적인 이해를 통해 자신들만의 사상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상가가 제시하는 시간 개 념에 대한 해석은 그 사상가를 이해할 수 있는 필수 요소이다. 그리고 우리가 이제 살펴볼 사상가 니체 역시 자신의 핵심적인 사유를 자신만의 독창적 인 시간 개념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라는 사유를 통해 우리에게 제시하고자 한다. 니체에 게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라는 사유는 그가 전승된 형이상학의 세계관을 해체하고, 새로운 가치 체계를 창조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제공한다. 이것은 니체가 동일한 것의 영 원회귀라는 개념을 통해 단지 ‘지금 여기’라는 인간의 실존적 시간의 조건을 우리에게 제시 할 뿐만 아니라, 대지(Erde)라는 인간의 실존적인 삶의 토대를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위 ‘최대의 중량’이라는 제목을 통해 우리에게 제시된 니체의 시간 개념은 ‘지금 것 살았던 삶을 다시 한번 살아야만 하고, 또 무한한 반복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니체는 “거기서 새로운 것이란 없으며, 모든 고통, 모든 쾌락, 모든 사상과 탄식, 네 삶에 서 이루 말할 수 이 크고 작은 모든 것이 네게 다시 찾아올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동 일한 것의 영원회귀’라는 니체의 시간 개념은 지금까지 많은 니체 연구자들에 의해 니체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다양한 연구자들의 논의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것의 영원회귀’라는 개념만을 통 해 니체의 시간 개념을 논의하는 것은 니체 특유의 아포리즘적인 서술과 다양한 메타포의 사용으로 인해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니체가 인간의 실존적 특징을 설명 하기 위해 제시하는 ‘고통’, ‘기억’과 ‘망각’ 그리고 ‘과거해석’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니체의 시간 개념의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44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Nietzsche and Levinas on time.Nibras Chehayed - 2019 -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52 (4):381-395.
A Study on Nietzsche’s Language Concept. 남재민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7:85-105.
Nietzsche: Culture Warrior or a Sign of the Times?Paul Bishop - 2022 - Nietzsche Studien 51 (1):336-350.
Nietzsche: A philosopher of Culture or Anti-Culture?Mohammad Mehdi Ardebili - 2021 -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14 (33):1-16.
Nietzsche's Unmodern History of Philosophy.Frederick Donald Hotz - 2000 -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Nietzsche on Time and History.Manuel Dries (ed.) - 2008 - Walter de Gruyter.
Nietzsche on Cultural Convalescence.Jeffrey M. Jackson - 2010 - Subjectivity 3 (2):149-169.
Nietzsche's Double Binds: Giuseppe Fornari and René Girard on Nietzsche's Thought.Martino Pesenti Gritti - 2013 - Contagion: Journal of Violence, Mimesis, and Culture 20:141-162.
Nietzsche’s Portraiture.Jacqueline Scott - 1998 - The Paideia Archive: Twentieth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27:91-96.

Analytics

Added to PP
2024-01-16

Downloads
8 (#1,324,759)

6 months
8 (#373,02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