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Ethical and Practical Methodology of Ecological Community -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103-123 (2023)
  Copy   BIBTEX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인간, 자연, 기술 개념의 새로운 이해를 근거로 제안된 지역생태공동체 의 윤리적,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우리의 가장 현실적이고 위급한 문제인 기 후위기는 생태계 전체의 위기를 초래했다. 본고는 이 위기의 근원을 근대의 계몽주의에서 파생된 ‘배타적 윤리’에서 찾는다. 근대문명사회는 인간 삶의 편의와 지속을 위해 자연 을 적극 이용하였고, 근대는 개인의 자유권을 토대로 이를 정당화하였다. 그 결과 인간- 이성-주체 중심의 세계관이 형성되면서 비인간-감성-객체들의 세계는 배제되기에 이르 렀다. 계몽주의가 추구하고자 했던 합리적이고 윤리적 세계는 사실상 새로운 종류의 야만 이며, 그 안에 전체주의라는 모순을 가지면서 공동체는 지속가능성의 힘을 잃게 되었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방법론은 이러한 근대적 모순을 비판하면서 공생과 연대를 통한 생태공동체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관계적 윤리’를 근거로 하여 그 지속성을 가능하 게 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관계적 윤리’는 몸들간의 공생과 좋은 삶을 가능하게 하는 실천적 방안으로 제시된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44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Analytics

Added to PP
2023-05-23

Downloads
5 (#1,546,433)

6 months
2 (#1,206,545)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