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Yi Hwang's Lihak formation background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75-101 (2023)
  Copy   BIBTEX

Abstract

이황의 학문은 리학(理學)으로 평가될 만큼 이황은 리(理)를 특별히 강조하며 이론적 논의를 개진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이황이 강학 활동에 주력하기 시작한 1550년 이후부터 진행된다. 이황의 리학이 형성된 데에는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이 있었겠지만, 필자 는 이황이 1550년대 초부터 서경덕 문인들과 학문적으로 활발히 교유하였던 사실에 주목 하였다. 이황은 서경덕 문인들과 학문적 토론을 진행하면서 서경덕의 학설이 우주 만물의 근원·형성·변화 등을 기(氣)에 의거해서만 설명하고, 리를 그저 기의 조리(條理) 정도로 취급하고 있음을 인지하였다. 서경덕 문인들과의 교유 속에서 서경덕의 기 일원론적 입장을 보완할 필요성을 절감한 이황은 철학적 논의를 개진함에 있어서 기와 구분되는 리의 존재 및 역할을 의도적으로 드 러내고자 노력하였다. 리가 기의 조리가 아닌, 기와 구분되는 별개의 실재임을 밝히기 위 한 이황의 이론적 노력은 ① 인간 세계를 리 중심으로 설명한 것(「천명도설후서」) ② 리발 (理發) 명제를 통해 理에도 감정[사단]을 이루는 역할이 있음을 드러낸 것(사단칠정논쟁) ③ 도리(道理)의 용(用) 명제를 통해 리에도 현상 세계를 형성하는 역할이 있음을 드러낸 것(「심무체용변」)으로 정리된다. 리가 기와 엄연히 다른 존재론적 위상을 갖는 것임을 밝힌 이상의 논의들이 모두 서경 덕의 기 일원론적 학설에 대한 비판의식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서경덕 문인들과의 교 유는 리에 대한 이황의 성찰을 진전시킨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와 구분되 는 리의 존재 및 역할에 주목한 이황의 학문적 입장은 말년에 리의 형이상학적 운동성을 함의하는 명제인 리자도(理自到)를 제출하는 토대가 된다. 이처럼 서경덕 학설에 대한 이 황의 비판의식은 그가 리를 특별히 강조하는 이론적 논의를 개진하며 리학 을 구축할 수 있게 한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Links

PhilArchive



    Upload a copy of this work     Papers currently archived: 92,440

External links

Setup an account with your affiliations in order to access resources via your University's proxy server

Through your library

Similar books and articles

Hwang Woo-suk Scandal Reconstructed Based on Mass Mobilization.Manjae Kim & Bang-Ook Jun - 2015 - Eubios Journal of Asian and International Bioethics 25 (2):34-37.
Tosan chŏnsŏ.Hwang Yi & T. Oegyehak Ch Ongso P. Yonjip Wiwonhoe - 1980 - Kyŏnggi-do Sŏngnam-si: Hanʼguk Chŏngsin Munhwa Yŏnʼguwŏn.
T'oegye Yi Hwang adŭl ege p'yŏnji rŭl ssŭda.Hwang Yi - 2011 - Kyŏnggi-do Koyang-si: Yŏnam Sŏga. Edited by Chang-U. Yi.
T Oegye Chonso.Hwang Yi - 1958 - Songgyun Gwan Taehakkyo Taedong Munhwa Yon Guwon.

Analytics

Added to PP
2023-05-23

Downloads
9 (#1,260,789)

6 months
8 (#373,029)

Historical graph of downloads
How can I increase my downloads?

Citations of this work

No citations found.

Add more citations

References found in this work

No references found.

Add more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