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4
    Forgiveness and Savlatation: The Path to Being Human -From Cheong Jun Lee’s “The Strory of a Worm” and Michel Henry’s Phenomenology of Life-. 이은정 - 2024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100:73-101.
    이청준의 소설 「벌레 이야기」는 용서와 구원이라는 무거운 화제를 우리에게 던져준다. 용서는 어떻게 가능한가? 절망적 고통의 상황에서 구원은 또 어떻게 오는가? 이청준의 소설은 ‘벌레’라는 상징적 표현을 통해 우리 안의 ‘사람다움’을 묻게 한다. 용서와 구원의 길에서 일탈하지 않고자 우리가 붙잡아야 할 것이 또는 물어야 할 것이 이 ‘사람다움’이다. 용서와 구원은 모두 사람이 사람다워지는 일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논점이다. 사람이 사람다워지는 길에서 용서도 구원도 가능한 실천이다. 그렇다면 물어야 할 중요한 질문은 다음이다. 사람이 무엇인가? 그 해답을 주는 것이 앙리의 삶의 현상학이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
    Areas of Artistic Excellence Embodiment. 이은정 - 2019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98:131-150.
    산타야나는 그의 전체 미학의 전개에서 예술의 가치야말로 우리의 행복에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임을 강조한다. 그의 방대한 저서들이 견지하는 논지의 대부분은 행복, 즉 인간에게 가능한 가장 큰 행복은 이성의 삶을 추구할 때 달성된다는 것이다. 산타야나는 이처럼 행복을 얻기 위해 시도할 때마다 이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논지를 한 번도 포기한 적이 없다. 나아가 이러한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들 중에서 우리는 이성적 구현을 통한 예술 속에서 가장 구체적이며 고양된 행복에 도달할 수 있게 되며, 행복을 형성하는 것은 바로 미적 쾌임을 강조한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5
    Descartes’ Cogito and Freud’s Unconscious - Through Michel Henry’s Phenomenology -. 이은정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8:1-3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1
    A Contemplation of Roles of Social Workers with Lao-Tzu’s Tao Te Ching.Giduk Kim, 이은정, Choi Myung Min, Kimsungchun & Seung-Hee Park - 2014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77:7-4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5
    Phenomenological Reading of the Unconscious : Michel Henry and Freud. 이은정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9:127-147.
    이 논문은 ‘무의식의 현상학적 독해’를 제안한다. 이 독해의 시작은 앙리가 밝힌 ‘현상학적 기본 전제’이다. 이 전제가 ‘하나’가 아니라 ‘둘’이라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앙리의 현상학은 ‘삶의 현상학’으로서 현상학의 역사를 새롭게써 내려간다. 그가 가능케 한 이 ‘삶의 현상학’으로부터 ‘무의식의 새로운 해석’ 또한 가능해진다. 프로이트 무의식의 진술 속에서 앙리는 현상학적 삶을 읽는다. 이 독해의 결과 그는 선언할 것이다. “무의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는 “무의식은 삶의 이름이다.” 나는 이 글에서 이 같은 해석의 의의를 되새기고자 한다. 이는 아직도 사상적 면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는 정신분석이 앞으로 어떻게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9
    마음지킴(Sati) 기반 명상 실습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적 고찰. 이은정 - 2019 - 동서철학연구(Dong Seo Cheol Hak Yeon Gu; Studies in Philosophy East-West) 94:473-496.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