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5
    Subjection of Feminist strategy after 'Misogyny': Imitation of Hate speech and Hybrid identity. 김은주 - 2016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6 (null):103-13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 citation  
  2.  8
    Plato and Aristotle in Florence. 김은주 - 2023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167:83-108.
    이단으로 취급되었던 헬레니즘이 다시 빛으로 소환되었던 르네상스 시대, 그 사태의 중심지였던 피렌체는 거의 사상의 전쟁터라고 할 수 있었다. 1453년 비잔틴 제국의 멸망을 앞두고, 두 세계로 나뉘었던 동/서로마는 종교적 화합이라는 목표 아래 다시 만나게 되었고, 이로써 오랜 시간 동안 잊혀졌던 고대 그리스의 철학도 피렌체에서 부활했다. 이러한 순간을 위해 운명적으로 마련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사건이 바로 페라라 공의회였다. 비잔틴 제국의 황제가 이슬람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 도움을 청하려는 목적으로 보낸 사절들이 피렌체에서 만나게 되었고, 두 지역의 가장 뛰어난 지성들이 만났을 때 그들이 정치와 신앙 이외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14
    Conatus in Complex Individuality in Spinoza. 김은주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7:53.
    “자기 존재 유지의 노력”(코나투스)은 스피노자의 사상을 “긍정의 철학”으로 규정하게 해 온 핵심 개념이다. 그러나 코나투스는 인간을 예속적이고 심지어 자기 파괴적인 삶으로 몰아가기도 한다. 이것이 모순되어 보인다면 이는 코나투스를 흔히 단순체의 관점에서 보기 때문이다. 나는 스피노자에게서 모든 개체가 복합체인 만큼 코나투스 역시 복합적임을, 그리고 이 복합성은 부분의 다수성이나 전체 구조의 복잡성보다 더 역동적인 갈등적 성격을 가짐을 보여준다. 더 구체적으로는 첫째, 코나투스가 내적 부정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둘째, 전체로서의 개체만이 아니라, 개체의 변용들에도 별도의 코나투스가 있고, 후자의 자기 긍정성이 개체 전체의 본성에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13
    Affect and ‘community of Parting’ as Zoe’s Genealogy : About Jane Jin Kaisen’s 〈Community of Parting (2019)〉. 김은주 - 2022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8:153-181.
    ‘제인 진 카이젠(Jane Jin Kaisen)’의 영화 〈이별의 공동체(2019)〉는 바리의 신화를 제주를 비롯한 한반도의 분단된 각 영토와 각기 다른 시간대의 현대사와 맞닿게 하며 디아스포라, 여성과 소수자의 기억을 미학적, 윤리적 태도로 제시한다. 이 글은 〈이별의 공동체〉를 오이코스인 조에의 계보학적 탐구로 이해한다. 서사의 추동은 버려짐의 갱신된 의미를 통과하는, 이산의 이미지와 제주 4. 3 항쟁의 생존자이자 심방 고순안의 제례의 반복적 이미지로 엮인다. 영화에서 디아스포라는 순수한 기원의 동질한 공동체를 문제시 하면서, ‘우리’의 기억으로 수렴할 수 없는 이질적 시간성을 드러낸다. 이별의 공동체는 바리의 제례를 통해 파편화된 기억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13
    Foucault and Philosophy. 김은주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2:29-58.
    푸코는 자신이 철학자가 아니라고, 자신의 작업이 철학에 속하지 않는다고 말하곤 했다. 이 말의 의미를 물으면서 이 글은 철학에 대한 푸코의 입장을 두 가지로 제시한다. 한편으로 푸코의 이런 거리두기는 철학 일반에 대한 것이 아니라 특정한 역사적 형태의 철학, 곧 넓은 의미의 근대 철학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유의 무의식에 접근할 수 없는 주체 철학과 진리 문제에서 주체의 경험을 도외시하는 인식론화된 철학이 그것이다. 전자는 푸코가 ‘인간학적 잠’에 빠져들었다고 본 칸트의 초월 철학으로, 후자는 철학으로부터 ‘영성’을 제거한 데카르트의 진리 이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다른 한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5
    Antonio Damasio’s Overt Spinozism and Latent Cartesianism. 김은주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55-85.
    다마지오는 정신을 탈신체화된 것으로 본 “데카르트의 오류”를 지적하고 정신을 신체화된 것으로 본 “스피노자가 옳았다”고 선언한 바 있다. 내가 보기에 스피노자는 정신이 알 수 있는 것을 신체가 할 수 있는 것을 통해 설명한다는 점에서 분명 체화된 마음의 선구자이지만, 신체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다마지오와 입장이 다르다. 다마지오는 신체를 항상성 유지를 지향하는 합목적적 통일체로 보는 반면, 스피노자는 각 신체를 실체가 아니라 단지 양태적으로만 구별되는 단위로, 즉 운동 방식에 따른 부분들의 잠정적 통일체로 보는 기계론적 관점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 글에서 나는 심신관계(정신은 신체에 대한 관념)와 감정(신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7
    A Study on the Debate on the Authenticity Plato’s Seventh Epistle. 김은주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5:1-2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5
    Cartesian Concept of Love and Egoisme of Contentment - Early Modern Theories of Affect and Ethics of Power (I) -. 김은주 - 2018 - The Catholic Philosophy 30:155-186.
    데카르트가 정의하는 사랑의 정념은 자기 보존과 유용성 중심의이기적인 것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고, 사랑의 대상을 위해 자기희생까지 감수하는 이타적인 것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여기서나는 데카르트의 입장을 이기주의에 가까운 것으로 보되, 그가 심신합일의 바탕에 심신이원론을 설정함으로써 이타주의나 공동체주의와 완전히 양립 가능한 독특한 에고이즘을 벼려냄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나는 첫째, 사랑에 대한 데카르트의 정의가 ‘대상의 좋음’을 사랑의 핵심에 두는 아퀴나스적 관점과 결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사랑의 동기가 대상에서 주체로 옮겨온다고 해서, 데카르트의 사랑 개념이 홉스 류의 생물학적 이기주의를 함축한다고볼 수는 없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사랑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4
    Deleuze and Guattari's becoming and feminist meaning : the production of new body and feminist politics. 김은주 - 2014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1 (null):95-120.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3
    Derrida and the Politics Without Community : Ethics of Friendship and Hospitality Preserving Conflicts and Solitude. 김은주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255-285.
    이 글에서 나는 타자를 열린 마음으로 관용하거나 인정해야 할 이유 대신, 오히려 미지의 타자에 대한 대중의 공포 앞에서 자유주의 정치가 마주하는 곤경을 사고해본다. 이 공포는 자유주의의 이념적 토대인 보편주의의 위기를 반영하며 세계화의 진전과 더불어 점증하는 집단적 정체성에 대한 요구를 담고 있다. 나는 이 보편주의의 위기를 중심으로, 한편으로는 종교 전쟁 시대의 유산인 관용 담론이 왜 현재 별다른 호소력이 없는지를 보여주고, 다른 한편 데리다의 우애 및 환대의 윤리를 이 문제에 대한 가장 진전된 철학적 성찰의 하나로 소개한다. 일상적 의미와 반대로, 데리다는 그것들을 각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6
    Descartes’ Meditations as an ‘Discursive Event’ in Foucault-Derrida Debate on Madness. 김은주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4:87-11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5
    Deleuze’s notion of body and Rosi Braidotti’s feminist subject. 김은주 - 2013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0 (null):65-94.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6
    Ethical subject and Responsibility in Post-modernism : Focusing on Ethical Subjectivation in Deleuze and Butler. 김은주 - 2018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9:59-86.
    들뢰즈의 주체화 전략은 타자-되기를 꾀하는 과정이며, 주체 기능을 수행하는 행위자를 생산한다. 행위자는 본질적인 정체성을 갖지 않지만, 집단적인 행위들을 통해서 후험적으로(a posteriori) 구성되는 주체성을 지닌다. 이러한 들뢰즈의 주체화는 버틀러가『윤리적 폭력 비판:자기 자신을 설명하기』(Giving an Account of Oneself)에서 윤리적 주체를 주요하게 설명한 바와 교차한다. 버틀러는 주체화를 타자와 관계 맺는 말 걸기 구조에서 작동하며, 자기를 설명하기를 통한 자기 제작 과정으로 규명한다. 이러한 주체화의 구조에서, 나는 나를 다 설명할 수 없으며, 말 걸기의 수신자인 타자를 요청한다. 이로부터 버틀러는 책임의 출처를 나의 한계 인식과 내 안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4.  6
    From Gender as a Norm to Gender as a Apparatus: Focusing on Butler’s Gender Concept. 김은주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1:109-137.
    버틀러는 『젠더 트러블』이후, 규범적 젠더 수행을 넘어, 젠더를 단지 규범적(normative) 일뿐 아니라 규제적(regulative)이라 설명한다. 규제(regulation)는 표준적인 사람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의 제도화를 뜻하며, 구체적인 법과 규칙과 정책을 동반한 표준화(normalization)로 실행된다. 특히 『젠더 허물기』에서는 젠더가 규제적이라는 점을 강조하여, 규제를 통해 젠더가 젠더 규범으로 재생산되는 구체적 과정에 주목하고, 규제적 담론이 개인을 관리하고 활용할 뿐 아니라 개인을 적극적으로 구성한다는 의미에서 젠더는 사회 권력의 형식이자 젠더 이분법이 제도화되는 장치(apparatus)가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장치 개념을 거치면서 젠더는 규범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주체화에 관여하는 권력 장치로 설명된다.BR규범과 규범화라는 이중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5.  6
    Intolerance of Multitude and Politics of Tolerance in Spinoza. 김은주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8:81.
    스피노자는 관용의 철학자인가? 이 글은 관용을 옹호하는 스피노자의 논증에 애매함이 있으며, 이 애매함을 자유주의의 규범적 입장 대신 순전한 역관계를 논거로 삼는 그의 현실주의를 통해 해명하고자 한다. 『신학-정치론』에서 그는 권리란 곧 욕망과 역량이 미치는 만큼이라는 독특한 자연권 개념을 바탕으로 근대 여느 철학자보다 급진적으로 의견의 자유를 옹호한다. 그러나 그는 종교권력의 정치권력에 대한 종속은 물론, 의견의 자유 역시 심각하게 제한할 여지를 둔다. 그에게 문제의 핵심은 정치권력보다는 종교분파의 불관용, 궁극에는 정서모방의 파괴적 효과로서, 자신과는 다른 기질의 인간을 참지 못하는 대중의 불관용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결국 그는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6.  11
    Online-Feminism as Fourth Wave : Contemporary Feminism's politic and Technology. 김은주 - 2019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1:1-32.
    디지털 시대의 페미니즘 운동은 온라인에서 시작해 오프라인으로 확장하여 현실 변화를 추동하는 온라인 행동주의를 수행한다. 온라인 페미니즘은 온라인 연결행동이라는 방식을 통해 대중 운동을 일으키는 페미니즘 운동이다. 온라인 페미니즘은 비단 한국만의 상황이 아니라 세계적인 상황이다. 소셜 미디어는 페미니즘 운동의 소통 방식을 바꾸며, 페미니즘 운동을 글로컬한 운동으로 확장한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페미니즘 운동은 의제설정 목적을 뚜렷하게 부각하는 해시태그로 빠르게 집합하고 정서적으로 연결하여 문제를 사회적인 것으로 끌어올린다. 이런 발화는 기존 언론의 영향력을 뛰어넘는 대안 언론으로도 기능하며, ‘급진적 말하기’이자 일종의 ‘진리 말하기’인 ‘파레시아’(parrhesia)를 행한다.BR 본 글은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7.  7
    Politics of Location and Feminist Subjectivity : Focusing on the Body as an Affect-capacity and Space as Geo-body. 김은주 - 2020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3:1-29.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8.  3
    Spinoza and Judaism: Focusing on his critique of religion in the Tractatus Theologico-Politicus. 김은주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9:57-88.
    ‘배교자’에서 시작하여 ‘최초의 근대적 유대인’, 심지어 ‘시오니즘의 선구자’에 이르기까지, 유대인 스피노자는 역사 속에서 다양한 형상 아래 평가되어 왔다. 이 다양한 평가들의 바탕에는 신학정치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대교 분석이 있다. 이 글에서 나는 스피노자의 유대교 분석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분명히하는 가운데 유대교에 대한 그의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 스피노자는 우선 당대나 후대의 ‘반유대주의’의 모든 논거를 제시했다고 평가될 만큼, 예언, 선민사상, 의례 등 유대교의 특수성을 이루는 요소들에 대해 실로 가차없는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 비판은 유대교를 폄하하고 기독교를 편드는 것으로, 혹은 종교 일반을 철학(이성)이나 자유주의 정치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9.  3
    Spinoza and Women: Focusing on the Exclusion of Women. 김은주 - 2020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9:1-30.
    스피노자 철학에서 여성의 문제는 두 차원에서 논의되어왔다. 하나는 오늘날 여성주의가 스피노자의 철학에서 어떤 영감을 얻을 수 있는가이고, 다른 하나는 스피노자 자신의 여성관이 어떠한가이다. 후자는 민주정에서 여성을 배제해야 한다는 『정치론』의 마지막 논증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로 집중된다. 이에 대한 논의는 배제 주장의 일차적 근거가 된 여성의 본성상 열등함이『윤리학』학설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글은 첫째, 스피노자의 여성 배제 주장을 지지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여성의 열등함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두 번째 논거, 곧 남성의 정념임을 보여준다. 둘째, 이 정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0.  6
    서평 『혐오 미러링-여성주의 전략으로 가능한가?』 :영영 페미니스트에게 보내는 올드 페미니스트의 애정 어린 서안. 김은주 - 2019 - Korean Feminist Philosophy 31:169-17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1.  6
    The Formation of Lacan’s Concept of Subject and Philosophy of Spinoza - The imaginary structure of human experience and the ethics of desire -. 김은주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0:99-126.
  22.  9
    The Metaphysical Signification of “Order” in Gueroult’s Analysis of Descartes’ Proofs of God - From the Debate with Gouhier -. 김은주 - 2022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1:29-58.
    마르시알 게루는 “구조적 분석”이라는 프랑스의 철학사 연구 전통의 대표자며, 그의 데카르트 『성찰』 연구는 이러한 분석의 표본으로 간주된다. 이 글은 그의 데카르트 분석을 제시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그가 알키에와 벌인 유명한 코기토 논쟁 대신 『성찰』의 세 가지 신 존재 증명을 둘러싸고 구이에와 벌인 논쟁을 배경으로 삼는다. 후자의 논쟁 또한 전자의 논쟁 못지않게 데카르트 해석의 상반된 두 노선을 잘 보여준다. 신 존재 증명의 복수성과 순서를 게루는 ‘학설’의 차원에서 해석한다면, 구이에는 타자에 대한 ‘설득’의 차원에서 해석한다. 우리가 보기에 게루의 분석은 구이에가 올바르게 포착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3.  6
    The Reason for the Incompletion of Tractatus de Intellectus Emendatione - Focusing on the problem of method -. 김은주 - 2017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2:57-85.
    이 글은 『지성 교정론』의 미완의 이유로 제기된 다양한 가설들 가운데 방법이라는 기획 자체의 문제를 다룬다. 스피노자는 가상의 반박자의 입을 빌려 방법의 기획에 다음과 같은 치명적 문제를 제기한다. 첫째, 올바른 방법을 마련하려면 그것을 마련할 올바른 방법이, 또 이를 발견할 올바른 방법 등등이 필요하지 않은가? (무한퇴행의 문제) 둘째, 방법의 출발점인 주어진 참된 관념의 참됨은 어떻게 보증하는가? (진리의 보증 문제) 셋째, 진리는 스스로 참됨을 드러내는데 인식 과정과 별도로 방법이 왜 필요한가? (방법의 필요 문제) 스피노자는 인식에 대한 방법의 내재성과 진리의 자기현시를 통해 앞의 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4.  9
    The Role of Affects in the ‘Interpellation’ of Multitude - Spinoza’s Analysis on Hebrew Theocracy and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 김은주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9:197-228.
    이 글에서 나는 스피노자 『신학정치론』의 히브리 신정 분석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다룬다. 이는 단지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의 원천이 스피노자임을 밝히기 위해서라기보다, 알튀세르가 이 사례를 부분적으로만 활용하면서 스피노자 분석의 핵심 중 하나를 누락시키기 때문이다. 나는 스피노자의 히브리 신정 분석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 개념을 예증하는 탁월한 사례라는 것, 그러나 스피노자의 분석에서 호명은 개인보다는 대중에 대해, 그리고 대중의 감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대중 감정의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알튀세르가 이 사례를 철저하게 활용했더라면 그의 이데올로기론에 가해지는 주된 비판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5.  6
    Visual technology and body image as “organs without body”. 김은주 - 2016 - Korean Feminist Philosophy 25 (null):137-16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6.  5
    “We feel that a certain body is affected in many ways” : Spinoza’s Alternative to Cartesian Reasoning on Mind-Body Union. 김은주 - 2015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2:1.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