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15
    Can a Sex Robot be a Personal Companion? - A Counterargument to the ‘Symbolic-consequences Argument’-. 김남호 - 2021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97:1-13.
    이 글은 한국사회에서 논란이 되는 리얼돌(real doll)이 단순한 성적 만족을 위한 도구 가 아닌 인격적 존재로 발전될 수 있는가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그를 위해서 우선 리얼돌 에 반대하는 대표적인 입장의 핵심 논변인 ‘상징-결과 논변(symbolic-consequences argument)’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상징-결과 논변’은 리얼돌(섹스봇 포함)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적 규범(sexual norms)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이는 결과적 으로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리얼돌의 생산 및 판매가 금지되어야 한다고 주장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윤지영(2020)의 입장을 ‘상징-결과 논변’으로 재구성하여, 그 타당성과 건전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리얼돌이 여성에 대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8
    Is the problem of free will a problem of empirical science? - Objection to Balaguer's theory of event causal libertarianism. 김남호 - 2023 - Journal of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102:25-39.
    본 논문에서 자유의지 문제가 경험과학의 문제라는 발라규어의 ‘탈형이상학적’ 견해가 비판적으로 검토된다. 발라규어에 따르면, 모든 형이상학적인 문제는 1) 경험과학의 문제이 거나 2) 논리적인 문제이거나, 아니면 3) 무의미한 문제 중 하나이며, 자유의지 문제는 경험 과학의 문제에 속한다. 그는 선결정되지 않은 사건, 즉 ‘갈린 선택(torn decisions)’이 존 재하며, 이 주장은 신경과학을 통해 진위 여부가 판명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발라규어의 사건-인과 자유론이 크제 세 문제에 직면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첫째, 발라규어식 사건-인과 자유론의 핵심적인 개념들이 모두 경험 과학적 탐구 대상이 될 수 없으므로 ‘적용의 문제’가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6
    Meritocracy and New Aristocracy - Nietzsche, as an Event-causal Libertarian -. 김남호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5:59-77.
    본 논문은 니체의 자유의지 개념과 실천 교설 사이의 비일관성과 관련하여, 기존의 ‘양립론’과 ‘비양립론’의 주요 논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비양립론에 의하면, 니체는 자유의지를 인과적으로 무력한 ‘부대현상’으로 이해하기에, 그의 실천 교설은 보편성을 확보하는 데에 실패했다고 본다. 반면, 양립론에 의하면, 니체는 새로운 형태의 자유 개념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실천 교설과의 비일관성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기존의 비양립론은 니체의 자유의지 개념이 20세기 형이상학의 논쟁보다 더 복잡한 맥락에서 탐구된 결과물이며, 따라서 더 신중한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반면, 기존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