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8
    Mathesis Universalis and the Autonomy of the Pure Understanding in the Rules for the Direction of the Mind. 백주진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2:209-233.
    데카르트는 학문들의 통일된 체계를 보편적 방법을 통해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기획은 그의 초기 미완의 저술 『정신지도규칙』에 이미 주제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규칙4-B」의 보편수리학과 「규칙4-A」의 보편 방법사이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보편 방법의 일차적인 관심이 존재론적인 것이라기보다 논리학적인 것임을 보일 것이다. 보편 방법은 학문적 증명들을 순수 지성의 근원적 자율성 위에 정초함으로써 학문들의 통일된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는 기획이다. 데카르트는 이러한 기획을 실현하기 위해 두 가지 중요한 방법을 사용한다. 첫째, 「규칙6」에서 그는 관계들을 정신활동들로 이해한다는 전제 하에서, 학문적 물음들을 관계들을 통해 정식화할 것을 권한다. 둘째,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6
    The Emotional Singularity of the Self-Consciousness in the Second Meditation. 백주진 - 2018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23:91-113.
    본고는 데카르트 『성찰』에서 등장하는 자아의식의 감정적이고 독특한 성격을 「둘째 성찰」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성찰』의 자아의식의 형식적이고 일반적인 성격을 강조한 브로우튼의 해석을 살펴본다. 브로우튼의 이러한 해석 자체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그는 『성찰』의 주체가 갖는 독특한 성격을 간과한다. 반면, 본고는 「첫째 성찰」, 「둘째 성찰」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자아의식의 독특성이 감정의 문제와 밀접히 관련됨을 보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집착”, “경이”, “수치”의 감정이 「첫째 성찰」, 「둘째 성찰」안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검토한다. BR 다음으로 본고는 「둘째 성찰」에 나오는 밀랍 조각의 예에 의해 자아의식의 감정적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The Role of Love in Descartes" Ethics. 백주진 - 2021 - Journal of the New Kore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03:107-124.
    본 논문은 데카르트의 윤리학에서 사랑이 하는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데카르트의 윤리는 관대함을 중심으로 한 덕 윤리인데, 여기서 관대함은 자유로운 주체들의 상호 존중을 내포한 “자기 존중”을 말한다. 반면에 사랑은 전체의 이익에 대한 계산적 모색을 가능하게 하는 정념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마리옹과 캉부슈네라는 두 프랑스 주석가의 해석을 통해서 관대함의 윤리 안에서 이익에 대한 계산적 모색이 수행하는 역할을 살펴볼 것이다. 마리옹에 따르면 데카르트의 “관대함”은 주체의 순수한 자기촉발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순수한 자기촉발 안에서 주체는 이익에 대한 계산 없이 타자를 타자로서 만나게 된다. 그리하여 계산을 염두에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