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der:
  1.  5
    Knowledge Beyond Human Knowledge?: A Critique of Meillassoux’s Speculative Materialism. 주재형 - 2024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100:1-38.
    메이야수는 현대 철학의 주목받는 흐름인 실재론 운동에서 중심적이고도 독특한 자리를 차지한다. 그는 ‘상관주의’라는 명칭을 고안함으로써 다양한 실재론들을 반-상관주의로 아우를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마련했다. 그러나 메이야수가 주장하는 사변적 유물론은 상관주의 내부에서 상관주의를 벗어나고자 한다는 점에서 다른 실재론들과 명확히 구별된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메이야수가 자신의 주저 『유한성 이후』에서 전개한 사변적 유물론의 중심 논변이 과연 상관주의를 실제로 논박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메이야수는 자신의 사변적 유물론이 상관주의가 성립하기 위한 필수적인 암묵적 전제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우리는 상관주의가 그러한 전제를 수용하지 않고서도 일관된 입장일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2.  13
    DeLanda’s Virtual Matter and Its Limits. 주재형 - 2023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54:83-11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3.  2
    An Inherent Critique of Vitalism: The Case of Bergs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9:79-108.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4.  4
    A Study of the Fidelity and Variability of the Memory in Bergson’s Matter and Memory. 주재형 - 2018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7:51-92.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5.  8
    Bergson’s Conception of Duration Revisited. 주재형 - 2021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9:113-142.
    이 연구는 베르그손의 지속 개념을 새로운 관점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이 개념은 주관적이고 의식적인 시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베르그손의 텍스트를 면밀히 독해하면 후설과 마찬가지로 그의 지속은 시간 자체의 구조에 대한 보편적인 철학 이론을 지향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우리는 지속 개념이 처음 등장하는 베르그손의 첫 저작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을 살펴보면서 지속 개념이 등장하는 이론적인 논의 배경, 지속 개념 자체의 내용을 차례로 서술할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속 개념은 의식 상태를 양화하려는 모든 시도에 대한 비판을 통해 드러나는 공간과 시간의 근본 (...)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6.  4
    Deleuze and the Foundation of the Metaphysics. 주재형 - 2017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75:39-68.
    이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들뢰즈의 형이상학은 바디우가 말한 대로 어떠한 인식론적 정당화 없는 전칸트적 형이상학으로의 회귀인가? 우리는 이러한 평가에 맞서 들뢰즈의 형이상학은 오히려 매우 독특한 종류의 정당화에 기초하는 칸트 이후의 형이상학임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스피노자와 칸트에 대한 들뢰즈의 주석적 텍스트들과 그의 초기 주저 『차이와 반복』을 분석하여 들뢰즈의 사유에 특유한 형이상학의 정당화 논리를 밝히고, 그 다음으로 이를 철학의 자기 정당화와 궁극 토대 문제를 다룬 다른 현대 철학자들(회슬레, 토마포지엘, 메이야수)과 비교함으로써 들뢰즈 형이상학의 특징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에 따르면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7.  4
    Derrida: the Deconstruction of Truth. 주재형 - 2020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7:1-31.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8.  6
    Foucault and Canguilhem - Science, Life and Subject -. 주재형 - 2018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34:117-147.
    우리는 푸코와 캉길렘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푸코가 마지막에 발표한 글인 캉길렘의 『정상과 병리』에 대한 서문에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이 글에서 푸코는 자신과 캉길렘이 개념의 철학이라는 전통에 속한다고 말하면서도 이 개념의 철학을 생명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특징짓고 있다. 어떻게 개념의 철학이 새로운 생명주의가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다음의 질문들을 통해 이 두 사람의 지적 여정을 따라가 볼 것이다. 푸코의 『임상의 탄생』은 캉길렘의 『정상과 병리』를 어떻게 반박했가? 어떻게 캉길렘은 결코 명시적으로 이에 대답하지 않으면서도 논의의 지형을 변형시켜 죽음을 중심에 놓는 생명주의로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9.  10
    Image, Pure Perception, Matter -On Bergson’s Theory of Pure Perception-. 주재형 - 2019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1:87-113.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0.  9
    Lovecraft and Philosophy : Life as Anti-Cosmos. 주재형 - 2021 - Phenomenology and Contemporary Philosoph 89:73-118.
    문학적 상상력은 새로운 철학적 사유의 가능성을 개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 따라 20세기 공포소설가 러브크래프트의 문학이 개방하는 새로운 우주론과 생명론의 윤곽을 그려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학과 현대철학의 관계에 대한 예비적 고찰을 진행한 다음, 문학이 불러일으키는 정서, 감정에 이미 인지적 차원이 존재함을 논할 것이다. 감정에는 세계와 존재에 대한 특정한 인식이 이미 깃들여 있다. 따라서 러브크래프트의 문학적 상상에서 핵심은 그의 작품들이 불러일으키는 공포 속에 담긴 세계와 존재 인식이다. 이 공포 속의 앎, 공포의 과학을 보다 명확하게 전개할 때, 우리는 어떤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1.  4
    On Bergson’s Method of Intuition. 주재형 - 2022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7:31-62.
    베르그손이 자신의 철학적 방법에 부여했던 중요성은 그렇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가 베르그손의 방법에 주목할 때 그의 철학 전체가 새로운 합리주의로 드러나게 된다. 베르그손은 언어로 표현 불가능한 신비주의적 직관을 단순히 주장한 게 아니라, 그 직관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론, 그리고 직관과 지성의 긴밀한 협력에 대해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해명을 제공한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그의 대표적인 방법론 텍스트인 「형이상학 입문」을 중심적인 독해 대상으로 삼아 직관의 방법론의 주요 단계와 특징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의 방법론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단계를 포함한다. 1) 분석과 직관의 구분, 2)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2.  5
    On the mode of existence of Bergson’s pure memory. 주재형 - 2016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29:151.
    앙리 베르그손이 『물질과 기억』에서 제시한 순수 기억 이론은 그간의 해석적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명료하게 밝혀지지 않은 측면들을 갖고 있다. 우리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특히 순수 기억의 존재 양태에 관한 것이다. 들뢰즈는 이에 대해 가장 강력한 해석을 내놓은 바 있다. 그에 따르면 순수 기억은 경험적, 심리적 차원의 시간 자체를 정초하는 초월론적인 잠재성으로서 공존의 질서에 따라 규정된다. 우리는 이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순수기억의 존재 양태에 대한 대안적 해석을 제시할 것이다. 베르그손 자신은『물질과 기억』에서 순수 기억의 존재 양태를 이미지의 형태를 취하지 않는 것으로 주장하면서도,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3.  2
    Suject and Religion in Bergson’s The two Sources of Morality and Religion. 주재형 - 2017 - The Catholic Philosophy 28:39-70.
    베르그손의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은 우리에게 주체화에 관한매우 독특한 이론을 제시한다. 이에 따르면, 인간이 자신의 실존을장악하는 주체가 되는 것은 종교를 통해서이다. 지성적 동물인 인간은 인간의 존재가 무의미한 세계 표상을 통해 인간을 허무주의의 고뇌에 빠뜨린다. 주체화는 이러한 지성의 자기 해체적 위험에대한 방어적 반작용에서 시작된다. 그런데 베르그손은 두 종류의주체화, 즉 정태적 종교의 작화 본능에 따른 사회적 주체화와 역동적 종교의 신비주의적 직관에 따른 우주론적 주체화를 제시한다. 이 두 주체화 방식에 대한 검토로부터 우리는 주체와 종교의 관계에 관한 다음의 결론들에 이르게 된다. 1) 종교는 주체화의 (...)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4.  5
    Towards a Bergsonian Theory of Individuation. 주재형 - 2020 - Cheolhak-Korean Journal of Philosophy 144:143-175.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  
  15.  5
    The Dream of Metacinema: Deleuze, Bergson and Image. 주재형 - 2021 - Journal of the Society of Philosophical Studies 135:31-57.
    No categories
    Direct download (2 more)  
     
    Export citation  
     
    Bookmark